티스토리 뷰
목차
오늘은 투자자라면 꼭 알아야 할 핵심 지표 중 하나인
PBR(Price to Book Ratio, 주가순자산비율)에 대해 쉽게 풀어보고,
최근 화제가 되고 있는 코스피 저PBR 종목을 확인하는 방법과 투자 전략까지 함께 정리해드릴게요.
PBR이란?
PBR은 기업이 보유한 순자산(자본)에 비해 주가가 얼마나 고평가 혹은 저평가되어 있는지를 알려주는 지표예요.
💡 계산 공식
- PBR = 현재 주가 ÷ 주당 순자산가치(BPS)
- 또는 PBR = 시가총액 ÷ 자본총계(순자산)
예를 들어 어떤 회사의 주가가 1만 원인데, 그 회사의 주당 순자산가치가 2만 원이라면
PBR은 0.5배, 즉 시장에서 자산 대비 절반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는 뜻이에요.
🔍 PBR로 무엇을 알 수 있을까?
PBR | 수치해석 |
1 미만 | 시장에서 자산보다 낮게 평가받음 → 저평가 가능성 |
1 수준 | 적정 수준의 가치로 평가받고 있음 |
1 초과 | 자산보다 높게 평가받음 → 프리미엄 기대 가치 반영 |
가치주 투자자들이 유망 종목을 찾을 때 가장 먼저 확인하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지금 왜 PBR이 주목받고 있을까?
최근 국내 증시에서는 많은 코스피 기업들의 PBR이 1 미만을 기록하고 있어요.
특히 제조업, 금융, 건설, 중공업 등 자산 기반 산업에서 0.5배 이하로 평가받는 기업들도 다수 존재합니다.
이처럼 기업의 자산 대비 낮은 주가 수준은 ‘저평가’ 가능성을 의미하며,
정부와 시장 모두 기업의 자산 가치를 제대로 반영하기 위한 다양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코스피 저PBR 종목, 어디서 확인할 수 있을까?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저PBR 종목 리스트를 직접 확인하고 분석할 수 있어요.
✅ 방법 1. 국내 증권사 HTS 또는 MTS 활용
- 각 증권사(예: 미래에셋, NH, 키움 등)에서 제공하는 종목 스크리너 기능을 통해
“PBR 1 이하” 필터를 설정하면 관련 종목을 정렬할 수 있습니다. - 일부 플랫폼은 PBR뿐만 아니라 PER, 배당수익률 등도 함께 조회 가능해서 종합적 분석에 유리합니다.
✅ 방법 2. 금융 포털 사이트 활용
- 네이버증권, 다음금융 등에서도 개별 종목별 PBR을 확인할 수 있으며,
“코스피 저PBR 테마”로 정리된 섹터 분석 자료도 종종 업로드됩니다.
✅ 방법 3. 주간 리포트 및 경제 기사 참고
- 증권사 리서치센터에서 발표하는 보고서나 뉴스 기사에서
“KOSPI200 내 PBR 1배 미만 종목”, “저PBR 가치주 테마” 등의 키워드로 자료를 찾을 수 있어요.
저PBR 종목, 이렇게 활용해보세요!
1️⃣ 먼저 PBR 1 이하 종목을 스크리닝합니다.
2️⃣ ROE(자기자본이익률), 이익 추세, 산업 업황 등을 함께 분석합니다.
3️⃣ 단순히 자산만 많은 기업보다, 미래 실적이 개선될 가능성이 높은 기업에 집중하세요.
4️⃣ 장기 보유 가치 + 단기 이슈 반영을 고려해 분할 매수 전략도 좋습니다.
💬 마무리 정리
PBR은 단순한 수치 이상의 의미를 갖고 있어요.
기업이 가진 실제 가치를 시장이 어떻게 평가하는지를 보여주며, 저평가된 우량 종목을 찾는 나침반이 되어줍니다.
특히 최근 국내 시장은 많은 종목이 PBR 1 미만으로 거래되고 있는 ‘가치 투자 구간’에 진입해 있기 때문에,
PBR을 활용한 종목 선정은 더욱 빛을 발할 수 있습니다.